Disable spanning tree of Cisco 2960 switch
Computer & Telecom2018. 12. 12. 11:41
Cisco 스위치 장비에 Spanning Tree가 켜져있으면 네트워크가 연결되는데 굉장히 느리다.
어차피 PC:스위치에서는 의미없는 기능이므로 Off 해야 욕을 안먹는다.
- 스위치를 콘솔로 연결한다.
- Putty 띄워서 COM포트로 붙인다.
- sh run(엔터)을 실행해서 spanning-tree 설정을 확인한다.
- 이전설정은 spanning-tree mode rapid-pvst, spanning-tree extend system-id 만 존재. - enable (엔터)
- 패스워드입력 (엔터)
- config terminal (엔터)
- spanning-tree portfast default (엔터)
- end(엔터)
- 다시 sh run(엔터)를 실행해서 spanning-tree portfast default 또는 사진처럼 spanning-tree portfast edge default 가 표기되나 확인
- exit(엔터)
- 콘솔케이블 뽑는다
IP-PBX on Raspberry Pi Zero W
Computer & Telecom2018. 12. 12. 07:03
앞서 구축된 IP-PBX가 라즈베리파이3에 올렸는데, 오래 가동했던 기기라 그런지 발열이 심한 단점이 있다. Fan을 설치하긴 했는데 Fan이다보니 방에서 돌리기에는 소음이 신경쓰인다.
그래서 더 저전력으로 돌면서 크기가 작은 라즈베리파이 제로 W로 교체하였다.
기본적인 H/W는 비슷하고 Raspbian OS를 공유하기 때문에 기존 파이3에서 WiFi로 PBX가 세팅되었다면 SD카드를 파이제로W로 꽂는것으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파이3 이다. Fan이 무식하게 크다. 고장품이라 Fan 없으면 10분만에 뻗는다.
이번에 산 파이제로W이다.
크기가 정말 작다. USB도 마이크로USB로 HDMI도 마이크로HDMI로 변경되었다. 마이크로USB단자가 USB Host용과 전원용이 구분되어 있으니 주의하자.
그래도 어느정도 발열이 있으니 CPU/APU에 방열판 하나를 붙였다. 원래 방열판이 없다. 나는 파이제로를 주문할때 구리방열판을 하나 함께 주문했다. 다해야 배송료 포함 3만원 쪼금 넘는다.
여기에 파이3에 꽃았던 SD카드를 그대로 옮겨 꽂는다.
크기비교를 위해 iQOS 담배와 비교해보자. 정말 작다.
이런게 1GHz CPU와 512MB RAM이 탑재되고 서버프로그램을 구동할수 있다. 심지어는 Kodi도 된단다.
그리고 책상아래에 양면테이프로 붙였다. ㅎ
케이스는 귀찮아서 안샀다.
나중에 기가비트 허브나 공유기에 삽입할 예정이다.
전원을 켜면 설정되있던 WiFi로 연결되어 Putty 연결이 가능하다.
FreePBX도 설정했던 IP로 접속된다.
나는 발열을 최소화 하기 위해 /boot/config.txt에 core_freq=700 으로 700MHz로 고정했다. 500을 줬더니 PBX가 기어다닌다.
그리고 internal bluetooth를 disable해버렸다. 어차피 IP PBX에 BT는 필요없다.
일단 PBX는 됬으니까 게이트웨이만 오면 된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