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2 (버라이즌) 순정앱 MMS 적용
SCH-I605 VRAMC3 (Android 4.1.2)에 적용했습니다.
차선책을 고민해 볼랍니다.
제가 올린 글에 대해 어느 분께서 적어주신 댓글로 한가지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사실 그분 댓글로 처음 알았습니다. LGT의 기기가 800MHz가 포함된 듀얼밴드 기기라는 것을요.
해서, 최근 출시된 갤럭시U에 대한 스펙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역시, 이렇게 적혀있더군요
PCS
송신(TX) : 1751.25 ~ 1778.75 MHz
수신(RX) : 1841.25 ~ 1868.75 MHz
CDMA
송신(TX) : 824.64 ~ 848.37 MHz
수신(RX) : 869.64 ~ 893.37 MHz
JCDMA
송신(TX) : 898.0125 ~ 900.9875 MHz
915.0125 ~ 924.9875 MHz
수신(RX) : 843.0125 ~ 845.9875 MHz
860.0125 ~ 869.9875 MHz
그렇다면, ESN이나 A-Key 조작이 필요없이 간단한 Naming과 Channel 변경. 그리고 인증과 기기변경 문제만 해결되면
일단 LGT기기를 SKT 2G에 물려 쓸수 있다는 계산이 나오고
폰 어플이나 문자어플 기타 여러가지 어플은 만들거나 쥐어 삶으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제조사의 A/S를 못받을 것이라는 감수는 해야겠지요)
재인증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니다. 확인해보니 PCS밴드와 WI-FI, 블루투스에 대해서만 국내에 형식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800~900MHz의 CDMA와 JCDMA는 등록되어있지 않습니다.
(형식기호 : PCS-IO3S1751.25/1778.75T,1841.25/1868.75R0.24G7W+LARN8 IO2402/2480TR0.000127F1WG1W79+2412/2472TR0.01G1DD2D13)
해서.. 오늘 전파연구소 질의응답 게시판에 문의를 하나 남겼습니다.
아예, 대놓고 LGT기계를 SKT에서 사용할라고 하는데 재인증이 되냐 안되냐를 묻는 질문입니다.
오늘 친구네 핸드폰샵에 점심먹으러 갔다가 갤럭시U를 보았는데 참 이쁘더군요.
아예 그자리에서 까봤습니다. 까보고서는 가입할라고 했다가.. 허걱 하고 왔습니다.
비싸기도 비싸거니와.... 3개월 후에 해지를 하더라도 기계값 낼 재간이 없네요. 허허허....
일단, 이게 되는지 안되는지만 확인해본 후에 결정해야 될 것 같습니다.
무선을 다루는 직업을 하다보니....정부정책이 지룰 같아서..
저는 항상 차선책을 선택해 왔는데 여기서도 여지없이 차선책을 택하게 됩니다.
말 그대로.. 차선책으로 개겨보자는거죠..
한번 시도해 보렵니다..
추신 : 아이폰3GS의 출시를 부추킨 원인중 하나가, 아이폰 출시가 더뎌지니 개인인증받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아이폰 출시가 당겨진 사례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2G 스마트폰이 안나오면... 우리 각자가 수입하던지 만들어서 쓰면 되는거 아닌가요?
제조사들이 안만들겠다는데... 그러면 할 수 없죠. 우리가 만들던가 외국서 사다쓰는 법 밖에..
해외향 폰 사온다고 해외로 돈 나간다고 뭐라 할것은 아닙니다. 왜냐구요? 없는데 어쩌냐구요... 안그래요?
2010.09.03. 16:25 |